오랫동안 자바를 사용해왔으면서도 생소한 키워드 하나를 오늘 알아봅니다. transient : 일시적인, 순간적인, 단기 체류자 Java에서 직렬화(serialization) 과정 중, 특정 필드를 제외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Java 1.0 버전(1996년)부터 존재해온 매우 오래된 기능이라고 합니다. 직렬화(Serialization)는 객체(Object)를 바이트 스트림(byte stream)이나 다른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반대로, 역직렬화(Deserialization)는 저장/전송된 데이터를 다시 원본 객체로 복원하는 과정입니다. transient 키워드가 사용된 필드는 이 직렬화 과정에서 제외하게 됩니다. 보안상 민감한 데이터 (비밀번호 같은)나 직렬화할 필요가 ..
1. 기본 설계 원칙리소스 중심 설계동사보다는 명사 사용 ( 예: ✅ /users, ❌ /getUsers )계층적 구조 (예: /users/{id}/orders)적절한 HTTP 메서드 사용GET /users # 조회POST /users # 생성PUT /users/{id} # 전체 수정PATCH /users/{id}# 부분 수정DELETE /users/{id}# 삭제 2. 엔드포인트 네이밍 규칙일관성 유지소문자 사용 ( ✅ /orders, ❌ /Orders )하이픈(-) 사용 가능, 밑줄(_) 피하기복수형 권장 ( ✅ /products, ❌ /product )예시: 좋은 vs 나쁜 사례✅ /users/{id}/orders❌ /getUserOrderById 3. 버전 관리 전략..
1. 프로젝트 설정먼저,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Redis 관련 의존성을 추가합니다.1.1.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생성Spring Initializr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필요한 의존성으로는 Spring Data Redis와 Lombok(선택 사항)을 추가합니다.Spring Data Redis: Redis와의 통합을 위한 스프링 데이터 모듈Lombok: 코드 간소화를 위한 라이브러리 (선택 사항)1.2. pom.xml에 의존성 추가Maven을 사용하는 경우, pom.xml 파일에 다음과 같이 의존성을 추가합니다.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starter-data-redis ..

2018년 약간의 컨설팅으로 발을 담궜고 2019년 컨설팅 + 약간의 운영으로 무릎을 담궜고 2020년 컨설팅 + 운영 + 예약 사이트 설계 및 개발로 몸까지 담궜던 사이트가 2021년 드디어 오픈(?)을 하기는 했다. 1월에 네이버예약 사이트에 올라가 있던 데이터 긁어 모아서 DB 구성하고 네이버예약과 연동을 했고 4월에 숙박업체용 예약 시스템을 오픈하고, 5월에 드디어 자체 예약 사이트를 일단 열어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은 80개 정도.. 70개 정도는 내가 설계한 듯 하고 네이버예약 / 카카오 알림톡 / 각종 결제 연동은 우리팀 에이스가 알바로 그리고 정직원으로 개발했다. 정식으로 프로젝트 팀 구성하고 순차적으로 개발한 것이 아니라 엉성한 부분이 많이 있지만, 생각했던 것 보다는 매우 부드럽게 운..

AWS Management Console 접속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console/home?nc2=h_ct®ion=ap-northeast-2&src=header-signin#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console/home?nc2=h_ct®ion=ap-northeast-2&src=header-signin 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 EC2 클릭 인스턴스 생성 -> 인스턴스 시작 클릭 Amazon Machine Image (AMI) 선택 아래 목록 외에도 더 많은 OS 이미지가 있으므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 인스턴스 유형 선택 1년간 공짜이기도 하고,..
스프링 Security 연습 1 이왕 스프링부트를 하는 김에, 그동안 Interceptor를 써왔었는데, 스프링 Security 를 사용해보기로 합니다. #1. build.gradle 에 spring-boot-starter-security 추가하고, Refresh Gradle Project ( 리프레시 안하면 에러납니다. ) #2. 스프링부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봅니다. 원래는 아래와 같이 나와야 하는데. ( 시큐리티 적용이 안 되어 있다면 ) 실행 시 로그에 아래와 같은 로그가 추가되면서 같은 URL을 접속했을 때, 인증 필요라고 나옵니다. #3. SecurityConfig.java 를 작성합니다. 다시 localhost:8080/hello 를 접속하면, 이번에는 localhost:8080/login..
- Total
- Today
- Yesterday
- K리그
- SqlSessionfactory
- spring tutorial
- 여행
- 펜탁스
- k-3
- G3
- PIC
- 텐트
- 캠핑
- 자바
- web.xml
- 에닝요
- 스프링
- 부모님
- 사이판
- Spring
- 스프링부트
- mybatis
- 아마존
- Java
- 톰캣
- LG
- 카메라
- 리조트
- 강원도
- MySQL
- 세부
- 전북
- 캠핑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